- (입찰대상금액) 2,200,000,000원(부가세 포함) ※ 민간 협력사가 제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, 매체 전략 수립 및 집행·운영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며, 『정부광고 업무규정』 제9조(민간협력에 대한 대가 지급 등)에 따라 정부광고 운영에 대한 수수료(정부광고료의 100분의 10)의 100분의 70을 민간협력 계약당사자에게 지급함 단, 제안요청서 상 표기된 정부광고료 및 정부광고 수수료를 초과한 경우 재단은 그 초과금액에 대하여는 민간협력에 대한 대가 지급의 의무가 없음 ※ 민간협력사는 총 소요경비에 대한 전문기관의 검수(사후원가정산)결과 제출 필요하며, 일체의 비용은 민간협력사에서 부담함 ※ 상기 예정가격은 용역원가, 일반관리비, 이윤 및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금액으로,「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」제8조에 의거 일반관리비의 비율은 용역원가의 100분의 6을 초과하지 못하며, 이윤율은 용역원가 및 일반관리비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지 못함. 단, 광고매체 집행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함 ※ 한국언론진흥재단 소요경비는 정부광고료와 정부광고 수수료가 포함되어있음 ※ 명시된 예산은 실제 집행 시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※ 사업수행 현안에 따라 일정 변경될 수 있음 ※ 과업 범위, 광고 범위 등에 따라 사업예산 범위 내에서 일부 조정될 수 있음 6. 사업목적
□ 경제총조사의 낮은 대국민 인지도 극복과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를 형성하여 적극적인 조사 참여 유도 필요
○ 경제총조사는 5년마다 간헐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조사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조사 목적 등에 대한 이해 부족**으로 어렵다는 인식
* 전주기 ‘경제총조사 인지도(65.5%)’는 인구주택총조사(89.3%)에 비해 △23.8%p 낮음 ** 경제총조사를 세무조사로 혼동하거나, 영업비밀이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감 잔존
- 2025년 기준 경제총조사‘26년 실시의 중요성을 홍보하여 대국민 공감대 형성 및 인지도 제고를 통한 고품질 통계 생산 기반 조성
⇒ 경제총조사의 긍정적 이미지 전달과 더불어 조사 이유와 가치를 사업체 응답자가 공감하도록 하는 홍보 전략 필요
□ 사업체의 자발적 온라인 조사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조사원을 통한 면접조사 대상을 축소하여 비용 효율적 조사 실시 필요
○ 조사비용 증가, 응답 거부 등 어려운 현장조사 극복을 위해 旣수립한 ‘온라인 조사 로드맵’의 ‘26년 목표율 10% 달성을 위한 집중 홍보 필수
- 대한민국 경제의 주체로서, 기업과 국민의 자발적인 조사 참여가 경제 발전의 핵심이라는 인식을 주어 경제총조사 참여의 의미 강조
⇒ 사업체(기업체) 경영진 등 고위급 협의체 구성, 우수 조사대상 사업체 선정 등 응답자와의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한 홍보 필요
□ 인공지능 대전환(AX) 시대 경제활력 제고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인공지능(AI)을 경제총조사에 연계한 붐업(Boom up) 필요
○ 새 정부의 기조(’인공지능 글로벌 3강 도약‘)에 맞춘 마중물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“인공지능(AI) 활용 항목”을 연상할 콘텐츠 제작
⇒ 인공지능(AI)이 활성화된 시대상을 반영한 경제총조사 슬로건, 캐치프레이즈 및 적절한 홍보 매체와의 연계 전략 요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