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. 사업목적 o 정부 발표 주요 정책 및 국정 현안에 대한 대국민 인지 제고 및 소통 강화
3. 사업기간 및 예산 o 사업기간 : 계약 체결일로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o 사업예산 : 오억오천만 원(550,000,000원 / 부가가치세 포함)
4. 주요사업 내용
가.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운영 전략 수립 및 운영 실행 o 플랫폼 특성을 고려 채널별 브랜딩, 운영의 ▲목표 ▲콘셉트 ▲타깃별 맞춤 전략 ▲콘텐츠 전략 ▲고도화 방안 등 수립 o 정부대표 누리소통망간 통합 연계 전략, 콘텐츠 확산 전략, 범정부 홍보지원 강화 방안 등 수립 나.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콘텐츠 기획 및 제작
1) 이미지 콘텐츠 기획·제작 o 소재 발굴·기획(콘셉·타깃·확산 등) → 카피·메시지 개발 등 콘텐츠 구성 → 디자인 등 ※ 제작 수량은 사업 협의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 * 고품질 콘텐츠 : ▵계기 ▵캠페인 등 연계, 기획성 콘텐츠 제작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제공(디지털 트렌드 반영한 다양한 신규 제작기법 활용 등) 2) 텍스트 콘텐츠 o 소재 발굴·기획(콘셉·타깃·확산 등) → 기획기사 등 → 관련 섬네일 제작 등 ※ 제작 수량은 사업 협의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
3) 영상(숏폼) 콘텐츠 o 소재 발굴·기획(콘셉·타깃·확산 등) → 카피·구성 시나리오 개발 → 촬영·편집 등 제작 4) 주요 채널별 특화 ▲시리즈 ▲고정코너 등 기획·운영 o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채널별 특징을 고려한 연재 기획 및 고정 코너 운영 등 (상기 수량 外 콘텐츠 추가 제작 가능) * 필수 포함 채널 : 인스타그램, 페이스북, 엑스(X) 5). 발주처(문체부 국민소통실) 누리소통망 콘텐츠 제작 지원 o 주요 계기·현안 연계, 범정부 통합홍보 추진 BI·VI 제작 지원 * BI(Brand Identity), VI(Visual Identity) o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이미지·영상 등 확보(사용 권한(저작권) 포함) 및 관리 지원 등
다.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콘텐츠 유통·확산 및 채널 운영 활성화 o 운영 대상 8개 매체, 콘텐츠 게시 관리 및 유통·확산 지원 o 주요 채널 활성화를 위한 연간/수시 이벤트 기획·운영(150건 내외) o 채널별 검색 최적화(SEO) 및 AI 최적화 관리 등 콘텐츠 영향력 강화 o 민간 포털·유력 민간매체·유명 창작자 등 연계, 콘텐츠 유통·확산지원
라.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채널 운영지원 o 채널별 홈 게시판 관리 및 소통지원 o 매체 운영 현황 및 사용자 반응 등 상시 모니터링 o 플랫폼社 운영정책 변화 수시 점검·공유, 대응 전략 수립 o 누리소통망 운영 및 제작 콘텐츠 전반에 대한 질적 관리 시행·지원 - 오류 최소화 및 품질 제고를 위한 상시 교차 모니터링 시행 -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운영 및 콘텐츠 관련 대국민 만족도 조사 시행(연 1회 이상) - 콘텐츠 고도화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(연 1회 이상)
마. 콘텐츠‧채널 운영 성과 관리 및 분석 o 콘텐츠 반응 등 인사이트 분석과 통계 관리(일일) o 홍보 의제별 성과 관리체계 운영 및 대응 지원(수시)
바. 전담인력 구성 및 운용 o 과업수행을 위한 전담인력 구성 및 운용 - 전담 인력의 구성 분야는 ▲채널 운영 및 전략 수립·실행(AE) ▲메시지 개발·구성(작가) ▲콘텐츠 제작(디자인/영상(숏폼))으로 구분하며, - 투입인력은 용역사업의 안정적 운영에 적합한 인력으로, 유사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전문인력으로 구성해야 하며, 구체적 이력 등을 제시해야 함 * 각 인력 구성 분야별 전문 관리 인력(PM)을 각각 배정해야 함 - 과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필요시 상호 협의에 따라 전담인력 중 일부(디자이너, 에디터 등)가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장소에 근무할 수 있음 - 투입 운영인력은 문화체육관광부 주관부서와 최종 합의하며, 사업 주관부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인력의 교체 및 증원을 요청할 수 있음
사. 해킹 등 대비, 정부대표 누리소통망 사이버 보안대책 수립·운영 지원 o 사이버 위험 실시간 채널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보안관리 지침 적용·운영 지원